생각해 보는 시간

🌿 귀농하고 싶은데 돈이 없어요… 가능한가요?

삶의 일상과 모든정보를 함께공유 2025. 4. 11. 07:59
728x90

🤔 현실의 벽 앞에 선 30대의 질문

저는 30대 현장 일을 하면서, 어떻게든 귀농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모아둔 돈은 다른 데 쓰였고 지금은 거의 자본이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귀농이 가능한 걸까요?
작물은 가지, 깻잎, 딸기를 생각하고 있고, 비닐하우스 농사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디에 알아봐야 할지도 모르겠고,
부모님은 면사무소 외에 아는 곳이 없다고 하시고,
주변 지인들의 조언은 현실과 맞지 않네요.

천천히 준비하고 싶은데, 너무 막막합니다…

이런 고민, 혼자만의 것이 아닙니다.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 중에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자본 없이 귀농 가능한가?”**를 주제로
정확한 정보 + 현실적인 방향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결론부터 말하면…

자본이 거의 없어도 귀농 가능합니다.
단, 그냥 되는 건 아니고 지원사업 + 교육 + 계획 수립이 필수입니다.
잘만 준비하면 정부의 최대 3억 저리 대출까지도 가능합니다.


1️⃣ 어디서부터 알아봐야 할까?

지금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가 귀농을 준비할 때, 어디에 가야 정보를 줄까?”
→ 정답은 **‘농업기술센터’**와 ‘귀농귀촌종합센터’

기관명내용
🏢 농업기술센터 (시/군청 산하) 귀농교육, 작목 상담, 시범사업 등
🌐 귀농귀촌 종합센터 온라인 정보 플랫폼 (https://www.returnfarm.com)
🏡 면사무소, 읍사무소 지역 토지, 주소이전 등 행정적 안내
💳 농협 지역본부 영농자금 대출 안내 등 금융 정보

2️⃣ 자금이 없다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지원명내용비고
영농창업자금 최대 3억 원, 연 1~2% 저리 대출 만 40세 미만 중심, 교육 이수 필요
농촌주택 구입자금 최대 7천만 원, 저금리 주택 건축 또는 구입 시
청년창업농 정착지원금 최대 100만 원 x 3년 만 39세 이하, 경쟁 있음
하우스 설치 지원 비닐하우스 자재 일부 지원 지자체별로 다름, 센터 문의

💡 주의: 대부분의 지원금은 "보조금"이 아니라 "융자(대출)" 형태입니다.
신용 등급, 계획서의 구체성,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3️⃣ 귀농 준비, 이렇게 순서 잡아보세요

  1. 귀농 교육 수강 (최소 100시간)
    →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가능 (농업기술센터, 종합센터 등)
  2. 작물 선택과 지역 맞춤 조사
    → 가지/깻잎/딸기 = 시설재배에 적합 → 기후, 유통, 수요 고려
  3. 토지 계획 세우기
    → 농지은행(농지 임대), 마을 임차 등으로 시작 가능
  4. 사업계획서 작성 → 지원 신청 준비
    → 작물 예상 수익, 비용, 판매 경로 등 구체적으로

4️⃣ 현실적으로 최소 어느 정도 자금이 필요할까?

물론 케이스마다 다르지만, 임대농지 + 소형 비닐하우스 + 중고 설비 기준
최소 1,000~2,000만 원 내외의 초기자금은 있어야 합니다.

  • 중고 비닐하우스 설치: 약 300만~800만 원
  • 초기 종자/묘목 구입: 100만 원 내외
  • 필수 장비: 소형 동력기, 분무기 등
  • 생활비/이동비: 최소 3~6개월 버틸 자금

💡 단, 지원사업에 선정되면 이 비용의 상당 부분을 대출로 해결 가능해집니다.


📝 마무리하며…

저 역시 같은 고민을 했고, 지금도 귀농 준비를 해나가는 중입니다.
자본이 없다고 해서 포기하기보다, 정보를 제대로 알고 방향을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걸 느끼고 있어요.

**“귀농은 돈보다 준비의 싸움”**이라는 말이 진짜 맞는 것 같아요.
혹시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귀농 관련 정보, 시행착오, 정부지원 팁 등 공유드릴게요!

728x90